감각적 이미지로 그린 도시인의 고독과 우수

 

 

유등천에서

 

 

열병식 하듯 줄지어선

갈대들의 춤사위도 시들해지고 있었다.

해오라기 눈동자가

물비늘로 일렁이는 여름날 오후

 

스쳐가는 사람들은 모두 타인이었다.

내 그림자 혼자 따라와

반짝이는 외로움

 

저기 가장교 물아래 거꾸로 달리는

트럭의 바큇살마다

비누거품으로 만든 구름이 피어나고

 

발을 다친 소음騷音들은

모두 유등천으로 내려와

뿌연 물이끼로 자라고 있었다.

 

일광의 화살을 막고 서있는

버드나무 아래엔 손수건만한 구름이 하나

 

어딘가로 보내는 간절한 소식처럼

계룡산 쪽으로

새 한 마리 띄워 보낸다.


  한창 시를 공부할 무렵 나는 김광균 시인의 시에 심취해 있었다. 와사등, 기항지, 설야, 추풍귀우, 황혼가등의 시집을 꼼꼼히 챙겨 읽으며 어떻게 하면 이처럼 참신하고 탁월한 감각적 표현으로 한 편의 시를 완성도 있게 형상화할 수 있겠는가를 연구하였다. “분수처럼 쏟아지는 푸른 종소리(외인촌)”, “멀리서 여인의 옷 벗는 소리(설야)”, “길은 한 줄기 넥타이처럼 풀어져/ 일광의 폭포 속으로 사라지고(추일 서정)” 등의 시구를 읽으며 시를 읽는 쾌감에 전율하였다.

  내 첫 시집 서울의 천둥에 담긴 시들이 비유나 상징으로 그려진 이미지 중심의 시였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 내 시의 태동이 김광균, 정지용 등의 모더니즘 시로부터였고, 그 분들을 닮고자 피나는 노력을 하였기 때문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선명하던 내 시의 빛깔이 희미해지고 관념적 추상적 목소리로 노래하는 경우도 있게 되었다. 할 말이 많아져 이미지 중심의 묘사적 기법이 아니고, 설명을 통한 서술 중심의 시를 완성하고 만족하기도 하였다. 어느 여름날 유등천을 걸으면서 이러다는 안 되겠다 큰일 나겠다 하는 경각심이 들었다. 버드나무 아래 벤취에 앉아 한 번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내 머릿속에 담긴 김광균 시인의 시의 기법으로 시 한 편 써보자 하는 생각으로 유등천에서를 완성하였다.

  위 시는 언어로 그린 한 폭의 풍경화이다. “열병식 하듯 줄지어선/ 갈대들의 춤사위도 시들해지고 있었다.” 내가 유등천에 가서 첫 번째 만난 것은 갈대들이었다. 직유법과 의인법을 사용하여 더위에 늘어진 유등천변의 여름날 오후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그러다 보니 물에 발을 담그고 물속을 노려보는 해오라기 한 마리의 눈동자에서는 물비늘이 일렁이고 있었다. 주위를 돌아보니 지나가는 사람들은 많이 있었지만 모두가 낯선 타인들이었다. 그 타인들 속에 느끼는 도시인의 고독을 내 그림자 혼자 따라와/ 반짝이는 외로움이라고 역설법을 통해 표현하였다.

   문득 바라보니 가장교 아래로 흐르는 물속으로 트럭 그림자가 달리고, 바큇살에는 비누그림자가 뻐끔거리며 걸려있었다. 깨끗한 것같이 보이는 물도 오염되어 있었는데 발을 다친 소음騷音들은/ 모두 유등천으로 내려와/ 뿌연 물이끼로 자라고 있었다.”라고 청각을 시각화한 공감각적 이미지로 표현해 보았다. 따갑게 쏟아지는 여름 햇살을 일광의 화살이라 은유법으로 표현해 보았고, 손수건만한 그 그늘에서 도시인의 고독과 우수를 알리려고 대자연인 계룡산 쪽으로 새 한 마리가 날아올랐다. 그 새는 언젠가 다시 돌아올지 모르지만 문제를 해결해준다는 응답은 아마 가지고 오지 못할 것이다. 현대인의 고독과 우수는 해결할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posted by 청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