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청라의 사색 채널>
풀의 나라
엄 기 창
시인, 대전문인협회 부회장
지난 가을 계족산 등산길에 칡덩굴에 둘러싸여 힘겨워하는 교목(喬木)을 본 일이 있다. 수령(樹齡)이 꽤 오래 된 낙엽송 나무였는데 칡덩굴이 친친 감고 올라가 둥치는 보이지도 않고 칡 잎사귀만 무성하게 늘어져 있었다.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던 나무의 꿈은 시들어가고 있었으며, 풀의 공격에 의해 나무의 권위는 무참하게 짓밟히고 있었다. 그 나무를 보며 무성한 민주주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지켜져야 할 소중한 가치들이 점차 무너져가는 우리나라가 생각나서 씁쓸한 마음이 들었다.
풀이 눕는다./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풀은 눕고/드디어 울었다./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다시 누웠다.//풀이 눕는다./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바람보다도 먼저 일어난다.//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발목까지/발밑까지 눕는다.
김수영의 시 ‘풀’의 일부이다. 이 시는 오랜 역사동안 권력자에게 억압받으면서도 끈질긴 생명력으로 맞서 싸워온 민중들의 모습을 그린 시이다. 사회적 상황이 나빠져 폭력화되었을 때 민중은 무기력하게 짓밟히지만, 결코 굴복하지 않고 자신들의 나약한 힘과 의지를 하나로 모아 권력에 맞서는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오랫동안 억압자들의 폭력에 고통을 받아온 우리나라의 민중들은 투쟁을 통해 ‘풀’과 ‘바람’의 대립적 역사를 종식시키고 누구나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주의 사회를 이루었다. 참으로 경하할 만한 일이다.
그렇지만 이 나라에서는 자유가 지나치게 범람(氾濫)하다 보니 권위(權威)있는 것들은 모두 다 적대시하여 말살시키려는 의식이 팽배(澎湃)해져서 참으로 안타깝다.
나라의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위해서는 교육이 바로 서야 되고, 교육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권위가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육현장에 가보면 나이 든 학부모님들이 교육계에 막 발을 들여놓은 신규 여선생님에게 반말 비슷하게 하는 일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자기 자식이 회초리라도 맞고 오는 날이면 갖은 폭력적 언어를 사용하여 항의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자식들이 있는 곳에서 담임선생님의 욕을 과하게 하는 부모님도 계시다. 교사들의 권위를 깔아뭉개놓고는 교내에서 자신들의 자녀를 보호해달라고 한다. 학부모님, 학생, 그리고 사회가 교사의 권위를 세워주고 힘을 실어줘야 그 힘으로 자녀들의 안전을 보호해줄 수 있다는 것은 왜 모르는 것일까.
언젠가 취객(醉客)에 의해 파출소가 부서지고 경찰들이 다쳤다는 기사를 본 일이 있다. 치안을 지키기 위해 박봉에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하는 민중의 지팡이를 부러뜨려놓고 폭력 없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달라고 한다. 때로는 한 나라를 이끌어가는 대통령을 이웃집 강아지 이름 부르듯 부르는 사람이 있다. 정책이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으면 사정없이 욕들을 한다.
진정한 민주주의가 이런 것일까? 풀들만 무성한 풀의 나라엔 하늘 향해 솟아오르는 나무들의 꿈도 없고 땅 한 평 더 차지하려는 풀들의 질시(嫉視)만 있어야 하는 것일까? 정말 살기 좋은 풀의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켜야 할 권위는 모두 힘을 모아 지켜줘야 한다.
<금강일보> 2015년 1월 30일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