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계영배戒盈杯
등산길에 한 친구가 K선생님 소천 소식을 전했다. 약간 시끄럽던 분위기가 갑자기 조용해졌다. 아니 그렇게 건강하고 열정적이던 분이 왜 갑자기? 다들 말은 안 하지만 짐작하는 바는 있는 것 같았다. 노욕老慾이 그 분을 망쳤을 것이다. 교수로 정년퇴임을 했으면 조용히 쉬면서 못다 한 학문 연구나 하실 것이지, 다 늦게 웬 사립전문학교 총장을 한다고 그 고생을 한단 말인가. 그러다가 송사訟事에 휘말려 갖은 고통을 겪었으니 강철 같은 그분의 정신력으로도 아마 감당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지나친 욕심은 몸을 망친다. 나는 문득 계영배戒盈杯의 교훈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계영배戒盈杯란 과음을 경계하기 위해 술을 어느 한도 이상 따르면 술잔 옆에 난 구멍으로 술이 새도록 만든 잔을 가리킨다. 고대 중국의 춘추시대에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하나인 제환공齊桓公이 군주의 올바른 처신을 지키기 위해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경계하려고 늘 곁에 놓아두고 마음을 가지런히 했던 그릇(欹器)이라 하여 유좌지기宥坐之器라 불리기도 했다. 『순자荀子』에서 보면, 후에 공자孔子가 제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그릇에 구멍이 뚫려 있음에도 적당할 땐 술이 새지 않다가 지나치게 채웠을 때 술이 새는 이 잔을 보고 제자들을 둘러보며, 총명하면서도 어리석음을 지키고, 천하에 공을 세우고도 겸양하며, 용맹을 떨치고도 검약하며, 부유하면서도 겸손함을 지켜야한다며 이 그릇의 의미를 가르쳤다고 한다.
오랜 가뭄 끝에 내리는 단비는 온 세상을 생명력이 넘치게 한다. 말랐던 논과 저수지에 물이 차오르고, 시들거리던 초목도 기운을 차려 보는 사람들의 마음마저 푸르고 싱싱하게 한다. 그러나 이 비가 지나치게 내려 홍수가 나고 산사태가 일면 오히려 이 땅에 커다란 재앙이 되는 것이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젊은 시절 큰 꿈을 가지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삶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나이를 먹고 기운도 능력도 떨어질 때가 되면 지나친 욕심은 내려놓아야 한다. 술을 어느 한도 이상 채우면 술이 새도록 만든 잔처럼 욕심이 지나쳐 몸을 망칠 때쯤이면 스스로 정화시킬 수 있는 자기 처신의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2019. 10. 7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