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동치미를 무치며
장미꽃이 필 때 쯤
입맛이 뚝 떨어졌다.
도솔산 뻐꾸기가 초록을 물고 와
소태처럼 쓴 일상日常에
새 잎을 마구 피워 올려도
호박잎모양 후줄근한 삶에 멀미를 느끼며
먼 기억 속
어머니의 손맛을 꺼내듯
해묵은 단지에서 동치미를 꺼낸다.
그리움에 윤을 내듯
골마지를 씻으면
힘들 때마다 문득 찾아오는 당신의 향기
들기름을 치고
고춧가루를 버무리며
저승에서도 놓지 못하는 어머니의 사랑에
삶의 입맛을 찾는다.
2019. 5. 21
『충청예술문화』2019년 6월호
글
겨울 송頌
겨울은
내가 채워줄 수 있는
텅 빈 공간이 많아서 좋다.
들판에서 홀로 바람 맞는
허수아비처럼
여기저기 허점이 있고
적당히 쓸쓸하고
수염 자국 거무죽죽한
사나이마냥
그늘이 짙어서 정이 가는
겨울아
온 천지 꽃으로 가득 채운 봄이기보다
여백을 많이 거느린
너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우러름을 받는 사람이 아니라
쉽게 다가올 수 있는
비우다 만 술병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2019. 5. 14
『대전문학』86호(2019년 겨울호)
글
[여론광장] 교직은 천직
2016-10-12기사 편집 2016-10-12 06:03:06대전일보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오늘날 영원한 스승 의미 퇴색 교사들부터 깊이있는 반성해야
전통적 유교사회에서는 군(軍), 사(師), 부(父) 일체라 하여 임금과 부친에 비할 만큼 스승을 존중하였다. 또한 당(唐)나라 승려 도선(道宣)의 저작 '교계신학비구행호율의(敎誡新學比丘行護律儀)'에는 "제자는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라고 하여 스승의 존엄성을 부각시켰다. 이는 사승 관계가 지식만을 전달하고 전달받는 관계가 아니고 스승의 사상과 철학, 삶의 태도마저 물려받던 우리 조상들의 교육적 모든 것이 어디에서 기인된 것일까.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교육을 담당하는 교체계 속에서 자리잡아온 유산이 아니었을까.
새천년이 시작되면서 점점 변모되기 시작하던 스승과 제자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요즈음에 와서는 완전히 비틀린 채로 정립된 듯한 느낌이 든다. 스승을 진심으로 존경하는 제자를 찾아보기 어렵고, 교사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학부모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학교를 진심으로 걱정하고 위하는 기자, 정치가들도 찾아보기 어려운 세상이 되었다. 겉으로만 교육을 걱정한다는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냉소 속에 학교는 점차로 오그라들고, 섬처럼 고립되었다.
교사들부터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깊이 있는 반성을 해야 하지 않을까. 2000년대 이전만 해도 교직을 천직으로 알고 살았던 교사들은 참으로 많았다. 어린 시절부터 정말로 선생으로 살고 싶었던 소망을 이루기 위해 교직을 선택한 많은 교사들은 더 좋은 대학에 갈 수 있었는데도 사범대학을 지망하였다. 정말로 선생이 되고 싶었던 사람들이 교직을 선택하였고,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교사가 되었다. 이 때는 교사 임용고시도 없었고 국가에서 발령을 내주었던 시절이라 임용시험 공부에 연연하지 않고, 책을 읽고, 사상을 토론하며 인생을 살찌우는 준비과정을 거쳤다.
60대 이상의 교사 중엔 집안이 어려운 학생에게 학비를 몰래 내주거나 자취하는 방값을 대어준 사람이 다수 있을 것이다. 장기결석 하는 학생 집에 10리도 넘게 걸어가서 학업을 포기할 위기에 처한 학생을 구해낸 경험이 있는 교사도 있을 것이다. 휴일만 되면 파출소로 문제 학생을 인계받으러 가서 저녁을 사주며 눈물로 호소한 교사도 있을 것이다. 어쩌다 하나 장학생 신청이 들어오면 까다로운 추천 양식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자기 반 학생에게 주고 싶어서 소리 지르며 싸우던 것이 당시 종종 있었던 교무실 풍경이었다.
당시의 교사들에겐 학생들을 진정으로 위하던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열정이 있었다. 자습 감독비는 고사하고 농사일을 거들어야 되는데 그렇게 늦게 보내면 어쩌냐는 학부모의 호통을 들어가며 학생들을 위해 밤늦게까지 학교에서 살았던 순수하고 뜨거운 마음이 있었다. 집안이 어려워 밥을 싸오지 못하는 제자에게 자신의 도시락을 즐겁게 양보하던 따뜻한 마음이 있었다. 그렇기에 진정을 몰라주는 제자에게 매질을 하고도 같이 붙들고 울 수 있었다. 1년 내내 회초리를 맞고 졸업한 제자가 원망하지 않고 평생 스승을 찾아와 감사를 드리는 일도 있을 수 있었던 것이다.
요즈음의 젊은 교사들에게서는 제자를 위해 진정을 바치려는 사람이 매우 드문 것 같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지식과 능력은 옛날보다 더 우수해졌지만 알파고처럼 차갑게 가슴 식은 교사들이 많은 것 같다. 물론 학생도 학부모도 사회도 정치가도 심지어 교육 당국마저도 교사 편에 서서 응원해주는 사람이 없는 외로운 사회에서 교사들은 살고 있다. 교사를 품고 있는 이 세상은 교사를 존중해주지도 않으면서 몇만 명 중의 한 사람이 이상한 행위를 하면 교사가 그럴 수 있느냐고 손가락질을 한다. 정말로 모범을 보여야 할 국회의원들은 수많은 부정을 저지르고도 정의의 길에서 저희들은 쏙 빠지고 학생이 진정으로 고마워 주는 꽃 한 송이만 받아도 범법자로 몰아붙인다.
이런 실망스런 세상에 살더라도 좀 더 의연하게 살아가자. 아침에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을 퍼부은 학부모가 있더라도 그 자식인 학생은 미워하지 말자. 하는 행동마다 미운 학생이 있더라도 그 학생에게 더 사랑을 쏟아보자. 아무리 귀찮은 일이라도 제자를 위한 일이라면 거부하지 말고, 내게 얼마쯤 손해나는 일이 있더라도 제자에게 이익이 된다면 망설이지 말자. 내 그림자를 짓밟더라도 웃으면서 진정을 보내보자.
교사는 영원한 스승이고 교직이 바로 당신들의 천직이니까.
엄기창 시인·대전문인협회 부회장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