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65건
글
사비가
淸羅 嚴基昌
낙화암 절벽 위엔 다홍빛
진달래꽃
천년으로 이어진 접동새 울음
달 밴 강물 속에
손짓이 있고
꽃잎은 한 잎씩 몸을 던진다.
백제도 신라도 아닌데
사비수 물소리는
젖어 흘러서,
접동새야!
올봄엔 떡갈잎 수풀 속에
소리 맑은 새끼새 알을 낳거라.
진달래꽃
천년으로 이어진 접동새 울음
달 밴 강물 속에
손짓이 있고
꽃잎은 한 잎씩 몸을 던진다.
백제도 신라도 아닌데
사비수 물소리는
젖어 흘러서,
접동새야!
올봄엔 떡갈잎 수풀 속에
소리 맑은 새끼새 알을 낳거라.
글
조룡대
淸羅 嚴基昌
누군가 한 사람 쯤
눈뜨고 있을 것 같아서
죽어서도 저승에 들지 못하고
歡樂宴 풍악 소리에
한숨짓는 용이 있을 것 같아서
조룡대 하늘을 이고 서 있다.
백마강 물결 따라
그 때처럼 노래소리는 들려오고
길게 누운 용의 잠 속으로
핏빛 눈물처럼 투신하는 진달래 꽃잎,
낙화암 가슴께를 치며 흐르는
세월을 보면
반도는 하나인데
마음들은 왜 이리 갈갈이 찢겨 펄럭이는가?
벗이여!
의자왕도 소정방도 보이지 않는
조룡대 위에 모두 와
물결의 속삭임을 들어 보게나.
욕심으로 뭉쳐진 바위도 부서져 모래알 되고
백마강 융륭한 흐름 위에 서면
인생은 잠시 반짝임일세.
눈뜨고 있을 것 같아서
죽어서도 저승에 들지 못하고
歡樂宴 풍악 소리에
한숨짓는 용이 있을 것 같아서
조룡대 하늘을 이고 서 있다.
백마강 물결 따라
그 때처럼 노래소리는 들려오고
길게 누운 용의 잠 속으로
핏빛 눈물처럼 투신하는 진달래 꽃잎,
낙화암 가슴께를 치며 흐르는
세월을 보면
반도는 하나인데
마음들은 왜 이리 갈갈이 찢겨 펄럭이는가?
벗이여!
의자왕도 소정방도 보이지 않는
조룡대 위에 모두 와
물결의 속삭임을 들어 보게나.
욕심으로 뭉쳐진 바위도 부서져 모래알 되고
백마강 융륭한 흐름 위에 서면
인생은 잠시 반짝임일세.
글
산을 오르며
淸羅 嚴基昌
혼자 일어나 파란 힘줄 돋은
계룡산
등성이를 오르면
이마 위에 말갛게 떠 있는 여백 속에
있는 듯 없는 듯
바람이 칼날처럼 후리고 가고
발아래 겨울을 인 작은 산들이
눈발에 부서지며 녹아들고 있다.
하늘 향해 한번 뾰쪽
솟아보지도 못하고
둥글게 둥글게 잦아든
충청도의 산이기에
흰옷 입은 모습이 더욱 가슴 저미게 젖어오는
산정에 서면
허리 낮추고
억새풀이나 붙안고 사는 능선마다
능선마다
듣는 이 없는 새 울음은 내리고 있다.
계룡산
등성이를 오르면
이마 위에 말갛게 떠 있는 여백 속에
있는 듯 없는 듯
바람이 칼날처럼 후리고 가고
발아래 겨울을 인 작은 산들이
눈발에 부서지며 녹아들고 있다.
하늘 향해 한번 뾰쪽
솟아보지도 못하고
둥글게 둥글게 잦아든
충청도의 산이기에
흰옷 입은 모습이 더욱 가슴 저미게 젖어오는
산정에 서면
허리 낮추고
억새풀이나 붙안고 사는 능선마다
능선마다
듣는 이 없는 새 울음은 내리고 있다.
글
금강
淸羅 嚴基昌
강 윗마을 이야기들이 모여
만들어진
초록빛 섬에
물새는 늘 구구구
꿈꾸며 산다.
숨쉬는 물살 그 가슴에
한 송이씩
봉숭아 꽃물빛 불이 켜지면
미루나무 그늘을 덮고
고개를 갸웃거리는 새,
역사는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말갛게 씻겨
모래알로 가라앉고
혹은
강둑 이름 모를 풀꽃으로 피는데
강심에 뿌리 내린 바위야
나도 이 비단결에
곱게 새겨지는 이름으로 남고 싶다.
그대 속삭임 들리는 곳이면
어디서나 발돋움하는
키큰 나무가 되고 싶다.
만들어진
초록빛 섬에
물새는 늘 구구구
꿈꾸며 산다.
숨쉬는 물살 그 가슴에
한 송이씩
봉숭아 꽃물빛 불이 켜지면
미루나무 그늘을 덮고
고개를 갸웃거리는 새,
역사는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말갛게 씻겨
모래알로 가라앉고
혹은
강둑 이름 모를 풀꽃으로 피는데
강심에 뿌리 내린 바위야
나도 이 비단결에
곱게 새겨지는 이름으로 남고 싶다.
그대 속삭임 들리는 곳이면
어디서나 발돋움하는
키큰 나무가 되고 싶다.
글
山 속의 찻집
淸羅 嚴基昌
구천동 돌아오는 물소리가
꿈결 같은
산 속의 찻집
엽차를 내놓는 主人의
눈빛 속에
아련히 산수리치 냄새가 풍기고
철이른 눈발이
새소리처럼 반짝이는
정결하게 가라앉은 산의 가리마
무엇을 위해서 뛰고 있는가?
반쯤 감긴 잠 속으로
돌 돌 돌
스며오는 맑은 물소리
찻잔 속에 가라앉은
세상이
꿈 밖에 멀다.
꿈결 같은
산 속의 찻집
엽차를 내놓는 主人의
눈빛 속에
아련히 산수리치 냄새가 풍기고
철이른 눈발이
새소리처럼 반짝이는
정결하게 가라앉은 산의 가리마
무엇을 위해서 뛰고 있는가?
반쯤 감긴 잠 속으로
돌 돌 돌
스며오는 맑은 물소리
찻잔 속에 가라앉은
세상이
꿈 밖에 멀다.
글
아침
淸羅 嚴基昌
계룡산 쪽으로 문을 열리
핏줄 속을 졸졸졸
도랑물 소리로 울리게 하면
뿌리 끝 어디엔가 아슴아슴 누워 있던
내 어릴적
칡맛 같은 정신이 살아나서
그대가 내 그림자를 밟고
문패를 달고 있는 나무라지만
우리가 맺은 이 진한 고리로
목탁 소리를 심어 그대 앞길 빌어 주리
한 방울 이슬에 갇혀
떨어지는 아침이라도
계룡산 쪽으로 문을 열리
마음을 비워 놓고
큰 산이 되리
핏줄 속을 졸졸졸
도랑물 소리로 울리게 하면
뿌리 끝 어디엔가 아슴아슴 누워 있던
내 어릴적
칡맛 같은 정신이 살아나서
그대가 내 그림자를 밟고
문패를 달고 있는 나무라지만
우리가 맺은 이 진한 고리로
목탁 소리를 심어 그대 앞길 빌어 주리
한 방울 이슬에 갇혀
떨어지는 아침이라도
계룡산 쪽으로 문을 열리
마음을 비워 놓고
큰 산이 되리
글
말의 묘미
淸羅 嚴基昌
벚꽃이 만개한 일요일. 친구하고 ‘청남대’ 구경을 같이 가자고 약속하였기에 차를 몰고 친구의 집으로 향하였다. 봄날은 화창한데 기다리다가 차에 오르는 친구의 얼굴은 겨울처럼 흐리다.
“이 사람 얼굴이 왜 그 모양인가? 집에 무슨 일이라도 있는가?”
“냉전 중인데 힘이 드는구먼.”
“누구하고? 제수씨하고? 이 사람아 살아가며 부부끼리 냉전 한 번 안 해본 사람 이 있는가. 자네가 좀 양보하지.”
“집사람 하고라면야 걱정도 않지. 며늘아이 하고 그러는데 참 불편하구만. 내보내야겠어.”
그러고 보니 지난 3월 친구의 자혼이 있었던 것이 생각났다. 아들 부부가 모두 직장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손자, 손녀를 보았을 때를 대비해서 집안에 두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도 같다.
“며느리 성격이 싹싹하다고 무던하다고 지난번에 자랑하지 않았나? 그런 며느리 하고 왜?”
“요놈의 입이 방정이지”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며느리가 화낼 만도 하다. 바쁜 직장생활 중에 저녁이라도 자기가 차려드린다고 일찍 퇴근하여 저녁상을 올렸더니, 국이 좀 짰던지
“소금이 넘쳐나는 모양이구나. 네 집은 음식을 이렇게 짜게 먹냐?”
정통으로 며느리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린 거였다. 웬만하면 참는 이해심 많은 여자도 친정의 흉을 보면 골내는 것을 몰랐던가? 예순이 다 되어가는 사람이 여자 마음을 그렇게도 모르다니!
판암동에서 추동 쪽으로 접어들자 길 가에 벚꽃이 무르녹았다. 벚꽃뿐만 아니라 진달래, 목련, 배꽃들도 저마다 자태를 자랑하며 산하를 온통 꽃으로 덮어버렸다. 대청호의 푸른 물과 조화를 이룬 절경을 감상하며 우리는 천천히 차를 몰았다.
“이 사람아, 말을 그렇게밖에 못하는가? 우리 선인들은 그럴 때 어떻게 말했는지 들어보겠는가?”
나는 어느 책에선가 본 기억이 있는 이야기를 친구에게 들려주었다.
“옛날 어떤 며느리가 시집 온 지 사흘 만에 처음으로 시아버지 진짓상을 보아다 놓았다네. 시아버지 마음에 얼마나 대견하였겠는가. 자애로운 눈으로 며느리를 바라보며 밥을 먹는데, 첫 숟갈에 ‘딱’ 하고 돌멩이를 깨물었다네. ‘얘, 아가!’ 불안해 죽겠는데 부르시니 대답을 안 할 수도 없고, 간신히 목구멍에서 기어 나오는 소리로, ‘네……?’ 하였더니. 시아버지 한다는 소리가, ‘이 다음에는 식성대로 섞어 먹게 따로따로 놓아라.’ 이렇게 말했다네. 위축된 상태의 며느리를 감싸면서도, 앞으로는 돌멩이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경고의 말을 이렇게 따뜻하게 할 수는 없는가? ”
“……….”
“자네 말한 대로라면, ‘너희 집은 쌀이 부족해서 쌀 반 돌 반 섞어먹니?’하고 말하지 않았겠나. 집에 가는대로 시아버지 자존심 어쩌고 하지 말고 사과하게.”
생각해 보면 그 이야기 속 며느리는 죄송해 죽고 싶은 심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엌으로 가면서 쿡쿡거리며 웃지 않았을까? 그러면서 시아버지를 더욱 어려워하면서도 존경하지 않았을까?
세상을 살다 보면 같은 상황이라도 참으로 듣기 좋게 말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듣기 거북하게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한 마디 말을 잘못해서 부부간에 이혼하는 사람도 있고, 상사에게 미움을 받아 직장을 쫓겨나는 사람도 있다. 말에는 그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다. 따뜻한 마음을 담아 말을 보내면, 따뜻한 마음이 담긴 말이 건너온다. 자신의 마음을 충분히 전하면서도 상대방의 마음을 즐겁게 만드는 말, 이것이 정말로 묘미 있는 말이 아닐까?
“이 사람 얼굴이 왜 그 모양인가? 집에 무슨 일이라도 있는가?”
“냉전 중인데 힘이 드는구먼.”
“누구하고? 제수씨하고? 이 사람아 살아가며 부부끼리 냉전 한 번 안 해본 사람 이 있는가. 자네가 좀 양보하지.”
“집사람 하고라면야 걱정도 않지. 며늘아이 하고 그러는데 참 불편하구만. 내보내야겠어.”
그러고 보니 지난 3월 친구의 자혼이 있었던 것이 생각났다. 아들 부부가 모두 직장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손자, 손녀를 보았을 때를 대비해서 집안에 두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도 같다.
“며느리 성격이 싹싹하다고 무던하다고 지난번에 자랑하지 않았나? 그런 며느리 하고 왜?”
“요놈의 입이 방정이지”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며느리가 화낼 만도 하다. 바쁜 직장생활 중에 저녁이라도 자기가 차려드린다고 일찍 퇴근하여 저녁상을 올렸더니, 국이 좀 짰던지
“소금이 넘쳐나는 모양이구나. 네 집은 음식을 이렇게 짜게 먹냐?”
정통으로 며느리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린 거였다. 웬만하면 참는 이해심 많은 여자도 친정의 흉을 보면 골내는 것을 몰랐던가? 예순이 다 되어가는 사람이 여자 마음을 그렇게도 모르다니!
판암동에서 추동 쪽으로 접어들자 길 가에 벚꽃이 무르녹았다. 벚꽃뿐만 아니라 진달래, 목련, 배꽃들도 저마다 자태를 자랑하며 산하를 온통 꽃으로 덮어버렸다. 대청호의 푸른 물과 조화를 이룬 절경을 감상하며 우리는 천천히 차를 몰았다.
“이 사람아, 말을 그렇게밖에 못하는가? 우리 선인들은 그럴 때 어떻게 말했는지 들어보겠는가?”
나는 어느 책에선가 본 기억이 있는 이야기를 친구에게 들려주었다.
“옛날 어떤 며느리가 시집 온 지 사흘 만에 처음으로 시아버지 진짓상을 보아다 놓았다네. 시아버지 마음에 얼마나 대견하였겠는가. 자애로운 눈으로 며느리를 바라보며 밥을 먹는데, 첫 숟갈에 ‘딱’ 하고 돌멩이를 깨물었다네. ‘얘, 아가!’ 불안해 죽겠는데 부르시니 대답을 안 할 수도 없고, 간신히 목구멍에서 기어 나오는 소리로, ‘네……?’ 하였더니. 시아버지 한다는 소리가, ‘이 다음에는 식성대로 섞어 먹게 따로따로 놓아라.’ 이렇게 말했다네. 위축된 상태의 며느리를 감싸면서도, 앞으로는 돌멩이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경고의 말을 이렇게 따뜻하게 할 수는 없는가? ”
“……….”
“자네 말한 대로라면, ‘너희 집은 쌀이 부족해서 쌀 반 돌 반 섞어먹니?’하고 말하지 않았겠나. 집에 가는대로 시아버지 자존심 어쩌고 하지 말고 사과하게.”
생각해 보면 그 이야기 속 며느리는 죄송해 죽고 싶은 심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엌으로 가면서 쿡쿡거리며 웃지 않았을까? 그러면서 시아버지를 더욱 어려워하면서도 존경하지 않았을까?
세상을 살다 보면 같은 상황이라도 참으로 듣기 좋게 말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듣기 거북하게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한 마디 말을 잘못해서 부부간에 이혼하는 사람도 있고, 상사에게 미움을 받아 직장을 쫓겨나는 사람도 있다. 말에는 그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다. 따뜻한 마음을 담아 말을 보내면, 따뜻한 마음이 담긴 말이 건너온다. 자신의 마음을 충분히 전하면서도 상대방의 마음을 즐겁게 만드는 말, 이것이 정말로 묘미 있는 말이 아닐까?
글
달맞이
淸羅
嚴基昌
보름이 와서
보문산 숲속으로 두둥실 달이 솟았다.
칼바람 들판
깡통 속에 불을 사르며
흥겨운 어깨춤 노랫가락
고향은 어디에도 없고
연을 잃어버려
꿈도 없는
콩나물 같은 내 아이 둘
올해는 헐멋은 가슴에
전설같은
이 애비의 어릴적 보름달을 안아라.
심심풀이로 꽃을 꺾는
네 통통한 손으로 애비의 손 잡고
두엄 냄새 풋풋한 골목이 있어
인정도 있는
아버지의 어릴 적 고향으로 가자.
보문산 숲속으로 두둥실 달이 솟았다.
칼바람 들판
깡통 속에 불을 사르며
흥겨운 어깨춤 노랫가락
고향은 어디에도 없고
연을 잃어버려
꿈도 없는
콩나물 같은 내 아이 둘
올해는 헐멋은 가슴에
전설같은
이 애비의 어릴적 보름달을 안아라.
심심풀이로 꽃을 꺾는
네 통통한 손으로 애비의 손 잡고
두엄 냄새 풋풋한 골목이 있어
인정도 있는
아버지의 어릴 적 고향으로 가자.
글
省墓
淸羅
嚴基昌
상여 뒤 따르며 울 때는
솔방울마다 요령 소리로 울어
하늘이 무너지더니
남같이 낯설어진 들국화 한 송이만
반색하는
아버님 무덤에 머리 숙인다.
봉분엔 햇살이 잘 고이고
묘지 옆 참나무 썩은 등걸에
영자 버섯으로 피어난 자식 걱정
‘저승은 늘 춥고 바람 불 텐데
제 염려 거두시지요’
두 번 절하고 올려다 보면
在靑龍 石白虎머리 위로
상현달 하나 나를 지켜 보고
돌아서 가는 자욱마다 채워주는
허전한 저녁 어스름,
아버님 음성…
솔방울마다 요령 소리로 울어
하늘이 무너지더니
남같이 낯설어진 들국화 한 송이만
반색하는
아버님 무덤에 머리 숙인다.
봉분엔 햇살이 잘 고이고
묘지 옆 참나무 썩은 등걸에
영자 버섯으로 피어난 자식 걱정
‘저승은 늘 춥고 바람 불 텐데
제 염려 거두시지요’
두 번 절하고 올려다 보면
在靑龍 石白虎머리 위로
상현달 하나 나를 지켜 보고
돌아서 가는 자욱마다 채워주는
허전한 저녁 어스름,
아버님 음성…
글
아버님前上書
淸羅
嚴基昌
아버님 목소리 땅에 묻던 날
대밭에서는
하루종일 대순이 돋았습니다.
한 줄금 내린 소나기로
목타던 대지가 젖어
취나물 향기 이내처럼 번지고
꾀꼬리 소리도 윤기 있게 반짝이며
개나리꽃 빈 가지에
꽃을 달고 있었습니다.
초승달 질 무렵
초승달 신고
뒤돌아보며 강 건너가서
착하게 사신 생애 기름으로 태워
이승의 봄 밝히는 등이 되셨나…
철성산 풀빛 짙어오는
풀빛 속이나
버들강아지 물오르는 태화천
물소리 속에
아버님 모습을 늘 뵙니다.
대밭에서는
하루종일 대순이 돋았습니다.
한 줄금 내린 소나기로
목타던 대지가 젖어
취나물 향기 이내처럼 번지고
꾀꼬리 소리도 윤기 있게 반짝이며
개나리꽃 빈 가지에
꽃을 달고 있었습니다.
초승달 질 무렵
초승달 신고
뒤돌아보며 강 건너가서
착하게 사신 생애 기름으로 태워
이승의 봄 밝히는 등이 되셨나…
철성산 풀빛 짙어오는
풀빛 속이나
버들강아지 물오르는 태화천
물소리 속에
아버님 모습을 늘 뵙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