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지盲地

맹지盲地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사람을 하나씩 끊는 일이다.

 

사방으로 열려있던

사람들 속에서

조금씩 문을 닫아거는 일이다.

 

어느 날 새벽 바람결에

나는 문득

내 목소리가 혼자라는 걸 느낀다.

 

무한히 열려있던 세상 속에서

한 군데씩 삐치고 토라지다가

물에 갇힌 섬처럼 내 안에 갇히고 말았다.


아, 타 지번地番의 군중들로 둘러싸여서

나는 그만 맹지盲地가 되고 말았네. 

겨울 들 말뚝처럼 

적막에 먹히고 말았네.

 

 

2018. 2. 10

대전문학80(2018년 여름호)

시문학20193월호

posted by 청라

해우소解憂所에서

 

 

들어갈 땐 고해苦海에 찌든

얼굴을 했다가도

해탈한 듯

부처님 얼굴을 하고 나온다.

 

채우는 일보다 비우는 일이

얼마나 더 눈부신 일이냐.

 

염불 소리도 하루 몇 번 씩은

해우소解憂所에 와서

살을 뺀다.

 

배낭에 메고 온

속세의 짐을 모두 버리고

한 줄기 바람으로 돌아가 볼까.

 

냄새 나는 삶의 찌꺼기들 모두 빠져나간

마음의 뜰에

산의 마음이 새소리로 들어와

잎으로 돋아난다.

 

 

2018. 2. 6

문학사랑131(2020년 봄호)

posted by 청라

산정호수의 구름

산정호수의 구름

 

 

어제 벙근 구름 건져

내 어항에 심었는데

오늘 아침 꽃구름이

수련처럼 또 피어났네.

뿌리 채 곱게 캐어서

네 마음에 전하네.

 

잔뿌리도 상하잖게

네 울안에 모종하게.

서울의 하늘에서

이런 구름 보았는가.

사랑을 일고 또 일어

산의 숨결로 빚은 구름

 

 

2018. 2. 2

posted by 청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