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함 이야기

유골함 이야기

 

유골함에 유골이

담기기 전엔

한없이 자유로운 빈 그릇이었지.

맑은 하늘과 소통하며

뻐꾸기 울면 뻐꾸기 노래 채우고

바람이 불면

찰람찰람 바람을 채웠지.

외로움이 없으니

비워낼 일도 없었지.

무언가로 채워야 할

사랑을 알 나이쯤

낯선 사람의 인생을 태운

이름이 가득 들어차면서

이제는 마음대로 비울 수도 없는

하늘 향해 꼭꼭 봉해진 유골함이 되었지.

 

2016. 7. 18

시문학201610월호

 

posted by 청라

어느 시인의 죽음

어느 시인의 죽음



시인을 묻고 돌아왔네.

주인 잃은 시들만

떠다니고 있었네.

그가 있어서 반짝이던 세상은

한 이름이 지워져도

빛나고 있었네.

아내도 자식들도

사랑하는 사람들도

허물을 지우듯 샤워를 하고 밥을 먹고

곤한 잠에 취하겠지.

친구들도 가끔 술안주처럼 씹다가

언젠가는 까맣게 잊어버릴 것이다.

그가 키운 시들은

몇 그루나 살아남을까

시인이 비운 빈 자리에

꽃은 피고

아이 울음소리 울린다.

 

2016. 7. 18

시문학201610월호

posted by 청라

추모시

 

삶의 스승

                 - 임강빈 선생님 보내는 자리에서

 

 

 

선생님을 만나기 전

청와집속의 모일某日에 반해

내 마음 속에 시의 스승으로 모셨습니다.

 

강릉의 바닷가 선술집에서

처음 술잔을 부딪치며

시를 말씀하실 때

나는 가슴이 터지는 줄 알았습니다.

 

선생님 곁에 서면

늘 금강의 편안한 물소리가 들렸습니다.

큰 소나무 솔향기가 풍겼습니다.

 

입 다물고 가만히 계실 때에도

큰 말씀이

마음으로 건너왔습니다.

 

너무도 따뜻해서

모닥불 같았던

잔잔한 미소는 아직 사라지지 않았는데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가슴마다

눈보라 속 무수한

를 남기고

 

선생님의 발걸음은 이제

바람이 되신 건가요?

시를 쓰시다 말고

달 따라 가신 건가요?

 

선생님은 가셨지만

나는 아직 보내드리지 못했습니다.

삶의 스승으로 내 가슴에

영원히 피어있을 겁니다.

posted by 청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