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룡대, 머리를 감다

 

 

소리치는 사람들은 깃발이 있다.

깃발 들고 모인 사람들은 

제 그림자는 볼 줄 모른다.


조룡대에 와서

주먹질 하는 나그네들아

조룡대는 날마다 죽지를 자르고 싶다.


부소산에 단풍 한 잎 물들 때마다

어제보다 더 자란

소정방의 무릎 자국

가슴에 박혀 지워지지 않는 화인火印 


지느러미라도 있었다면

천 년 전 그 날

물 속 깊이 가라앉아 떠오르지 않았을 것을


깃발 들고 목청만 높이는 사람들아,


비듬처럼 일어나는 부끄러움을 식히려고

백마강 물살을 빌려 조룡대는

오늘도 머리를 감는다.

 

2016, 11. 8

심상 20176월호

posted by 청라

가림성加林城의 가을

 

 

백가苩加는 무슨 소망을 돌에 담아 쌓았을까.

가림성加林城의 가을은 억새 울음에 젖어있다.

상좌평上佐平에 있으면서 또 무었을 꿈꾸었기에

피로 일어났다가 피로 쓰러졌는가.

멀리 보이는 금강 하구엔 배 한 척 보이지 않고

부지런한 세월만 바다로 흐르고 있다.

역사 앞에 서면 인생 부귀는 한낱 구름인데

날리는 신문 조각마다 백가苩加살아있네.

posted by 청라

낙화암

낙화암

 

 

백마강으로 돌들이 우수수 떨어졌다.

썩다 만 모과처럼 

낙화암은 늘 가슴이 아프다.

아침나절 신음하던 바람들이

절벽을 흔들다가 고란사 종소리를 따라간 후

비가 내렸다.

울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루 종일 유람선에서만 

조룡대 전설이 피었다 질 뿐

신라도 당나라도 없는 세상에

삼천궁녀의 한숨이 가슴에 닿아 

꽃으로 피는 사람 있을까.

하구 둑에 막힌 절규들만 하루 종일

물새 울음으로 출렁이는 백마강을 내려다보며

나는 한 방울의 눈물에도 촉촉해지는 

천 년의 이끼가 되고 싶었다.

 

 

2016. 10. 21

대전문학74(2016년 겨울호)

시문학20178월호

시학과 시창간호(2019년 봄호)

 

 

posted by 청라

노란 스카프

노란 스카프

 

 

내 나이 가을에는

미운 사람도 사랑할 수

있을 것 같다.

 

마음의 뜰 앞 은행나무에

화해의 노란 스카프

가득 걸어놓고

 

내게서 마음 떠난 사람들

다시 돌아오라고

간절히 손 흔들고 있다.

 

커피 향 한 모금에도

눈물이 나고

 

진홍빛 사과 위에 머무는 햇살이

따스하게 가슴으로

다가오는 시간

 

내 나이 가을에는

미운 사람도 용서할 수 있을 것 같아

노란 스카프 흔들고 있다.

 

 

2014. 10. 9

 

posted by 청라

슬픔을 태우며

슬픔을 태우며

 

 

미루나무 그림자가 노을 한 자락 걸치고 있는

금강 변에 서면

품고 온 슬픔이 없는데도 가슴에서 피가 난다.

 

착한 것도 죄가 되는가!

 

백제의 산들은 왜 모두 모난 데 없이 둥글기만 해서

적군의 발길 하나 막지 못한 것이냐.

 

나라 없는 백성들은 질경이처럼 짓밟혀서

꺾여도 꺾여도 옆구리에서 꽃을 피운다.

 

역사의 속살을 가리려고

바람은

투명한 수면에다 주름을 잡아놓는가.

 

짠한 눈물 몇 종지 스스로 씻어내며

세월의 골짜기를 흐르는 금강

 

강변에 불을 피우고

남은 슬픔 몇 단 불 속에 던져 넣는다.

 

 

2016. 9. 28

문장2017년 봄호(40)

시문학20178월호

 

 

posted by 청라

청춘에 고한다

책은

눈물을 지워주는 지우개

 

많이 아는 사람이 강한 사람이다.

posted by 청라

한 대접의 물

한 대접의 물

 

 

해오라기는 서두르지 않는다.

가뭄에 밀리다

반달만큼 남은 마지막 물웅덩이

목숨끼리 부딪쳐 깨어지는

여기에서는

생명은 생명이 아닌 것이냐!

나는 갑자기

입술이 갈라터진 아프리카 소녀가 생각났다.

한 대접의 물로는

한 생명도 살릴 수 없지만

네가 부어주고 또 내가 붓다 보면

연못이 다시 넘치지 않겠는가.

 

 

2016. 9. 16

posted by 청라

뿌리에게

뿌리에게

 

 

꽃이 되지 못했다고

서러워 말아라.

이른 봄부터 대지의 기운을

빨아들여

싹을 틔우고 잎을 키워낸

네가 없었다면

어찌 한 송이의 꽃인들

피울 수 있었으랴.

 

꽃이 박수 받을 때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 묻혔다고

울지 말아라.

세상에 박수 받던 것들은

쉬이 떠나가고

장막 뒤에 숨어있던 너만 살아 반짝일 때

그림자이기에 오히려 빛나는

뿌리의 의미를 알 것이다.

 

 

2016. 8. 19

『한국 시원』2018년 여름호(9호)

 

posted by 청라

대못

대못

 

 

도라지꽃 핀 돌무덤은

긴 대못이었다.

웃음꽃 벙글 때마다

어머니 가슴을 찔러

피멍울 맺히게 하는

뽑지 못할 대못이었다.

육이오 사변 통에

돌무덤에 묻혀

밤이면 부엉이 울음으로 울던 형

부엉이 울음 달빛으로 깔리던 밤

부엉이 울음 따라 나도 갈까봐

가슴에 꼭 안고서 지새우던 어머니

기억의 창문 속을 아무리 뒤져봐도

길고 긴 한평생을 대못에 꽂혀

환하게 웃던 모습 본 적이 없다.

 

2016. 8. 2

posted by 청라

행복

행복

 

 

저녁때 집에 돌아오면

집안에 환하게 불이 켜져 있고

아내의 싱싱한 웃음이 맞아주니

행복하다.

저녁을 먹고 커피를 마시면서

아내의 하루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그만이지.

삼십 년도 더 뒤에 등단한 친구에게

수상 대상자에서 밀렸으면 어떤가.

반백년을 시를 썼어도

애송시 한 편 못 남기면 어떤가.

며칠 만에 한 번씩 아이들에게서

잘 있다는 전화가 오고

카카오톡에는 손자 손녀들의 예쁜 사진이 쌓여가고 있다.

받아쓰기 이십 점을 받아오면 어떤가.

은방울 같은 웃음소리가

시들지 않으면 그만이지.

우리들은 가끔 행복에 취해

평범한 행복의 의미를 알지 못한다.

엊그제 낸 시집이 팔리지 않아도

행복하다.

산나리꽃처럼 주위를 밝히는

촛불로 살아가면 족한 일이지

불행을 깎아 시를 빚어서

심금을 울리는 시로 빛나고 싶지는 않다.

 

2015. 7. 25

posted by 청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