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무덤

시조 2015. 12. 25. 11:04

도자기 무덤

 

 

살점마다

쌓인 한만큼

달빛을 

머금었다.

 

삶의 

받침대에

손때 한 번 

못 묻히고

 

지옥 불 

나오자마자

깨져버진 생명들아!

 

2015. 12. 25

 

posted by 청라

제14회 정훈문학상 대상 시상

엄기창 관련 기사 2015. 12. 12. 22:19
 > 뉴스 > 금강마당 > 사람들 | 포토기사
트위터페이스북구플러스네이버밴드카카오스토리
금강마당
[제14회 정훈문학상 시상식] "부끄럽지 않은 작품쓰는 문인될 것"
엄기창 시인 대상 소감 밝혀…'받고 싶었던 상 수상에 영광"
데스크승인 [ 18면 ] 2015.12.11  최일 전우용 | choil@ggilbo.com  
  
제14회 정훈문학상 시상식이 10일 한남대 56주년기념관에서 열려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작품상 수상자인 이태진 시인, 이광희 금강일보 사장, 곽우회 정훈문학상운영위원장, 대상 수상자인 엄기창 시인, 리헌석 ㈔문학사랑협의회 이사장. 전우용 기자 yongdsc@ggilbo.com

충남 공주 출신의 엄기창 시인이 ‘제14회 정훈문학상’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본보 11월 10일자 1면 보도>

금강일보사와 ㈔문학사랑협의회는 10일 한남대 56주년기념관에서 ‘제14회 정훈문학상’ 시상식을 갖고 엄기창 시인에게 대상을, 이태진 시인에게 작품상을 수여했다.

엄기창 시인은 “꼭 받고 싶었던 상을 수상하게 돼 기쁘고 영광스럽다. 고향을 빛낸 선배시인, 대전 문학의 지평을 연 정훈 선생의 이름이 붙여진 상이라 그렇다”라며 “부끄럽지 않은 좋은 작품을 쓰는 문인이 되고, 지역 문학 발전에 공헌하겠다는 다짐을 새롭게 해 본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태진 시인은 “부족한 저에게 큰 상을 주셔서 감사드린다”라며 “순수한 시간은 문학을 접하는 순간이다. 시인의 마음을 오래 간직할 수 있도록 단단히 묶어두는 연습을 계속 배우고 익혀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1975년 월간 ‘시문학’의 추천을 받아 등단한 엄기창 시인은 지역 문단에서 순수 서정시의 대표적 시인으로 꼽힌다. 공주사대 국어교육과 재학 시 ‘시문학’ 주최 전국 대학생 공모전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 바 있는 엄 시인은 대전문인협회 부회장, 한국문학교육연구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태진 시인은 2007년 ‘문학사랑’ 신인작품상으로 등단했고, 대전예총에서 40세 이하 예술가들에게 수여하는 ‘제11회 대전예술신인상’을 수상했다. 한남대 시설관리팀 직원으로 재직하면서 희망의책 대전본부 ‘이달의 책’ 선정위원 겸 사무간사를 맡고 있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posted by 청라

정훈문학상 대상 수상 보도

엄기창 관련 기사 2015. 12. 12. 10:44
 > 뉴스 > 문화 > 출판/문학
트위터페이스북구플러스네이버밴드카카오스토리
문화
제14회 정훈문학상 대상에 엄기창 ‘춤바위’
데스크승인 [ 1면 ] 2015.11.09  최일 기자 | choil@ggilbo.com  
  
엄기창 시인(좌), 이태진 시인
  
 

금강일보사와 ㈔문학사랑협의회가 공동주관하는 ‘제14회 정훈문학상’ 대상 수상작으로 엄기창 시인의 시집 ‘춤바위’, 작품상 수상작으로 이태진 시인의 시집 ‘슈즈를 타고’가 각각 선정됐다.

정훈문학상운영위원회는 지난 6일 금강일보 회의실에서 곽우희 심사위원장을 비롯한 5명의 심사위원이 총 41명의 응모자들을 대상으로 심사를 벌여 이같이 수상작을 결정했다고 9일 밝혔다.

1975년 월간 ‘시문학’의 추천을 받아 등단한 엄기창 시인은 지역 문단에서 순수 서정시의 대표적 시인으로 꼽힌다. 공주사대 국어교육과 재학 시 ‘시문학’ 주최 전국 대학생 공모전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 바 있는 엄 시인은 대전문인협회 부회장, 한국문학교육연구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태진 시인은 2007년 ‘문학사랑’ 신인작품상으로 등단했고, 대전예총에서 40세 이하 예술가들에게 수여하는 ‘제11회 대전예술신인상’을 수상했다. 한남대 시설관리팀 직원으로 재직하면서 희망의책 대전본부 ‘이달의 책’ 선정위원 겸 사무간사를 맡고 있다.

제14회 정훈문학상 시상식은 내달 10일 한남대 56주년기념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posted by 청라

제비꽃

시조 2015. 12. 5. 11:16

제비꽃


이파리 하나라도 들킬까봐 움츠리고

풀 뒤에 숨어 읊조리는 자줏빛 저 고백을

가다가 쪼그려 앉아 하염없이 듣고 있네.


2015. 12. 5


posted by 청라

동방의 횃불

-길림 문학사랑성립成立 5주년을 축하하며

 

 

눈 감으면 들린다.

삭풍 몰아치는 북녘 땅

하이란강 물소리와 말 달리는 소리가.

 

구국救國을 위해 목숨을 바쳤던

선조들의 고귀한 씨앗

툰드라의 땅에 떨어져

 

싹을 틔우고

꽃을 피워서

거대한 화원花園을 이뤘나니

 

모든 것을 쇳물로 녹여

저희 몸에 덧입히는

중화中華의 불가마 속에서도

 

백두白頭의 얼 굳게 지켜

교목喬木처럼 둥치 키워가는

길림 문학사랑성립成立 5주년에 박수를 보내노라.

 

먼지처럼 쌓이고 쌓인 고난의 역사

자양분 삼아

어깨동무하고 오순도순 걷다가 보면

 

긴 겨울 매서운 칼바람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동방의 횃불로 서리.

 

posted by 청라

작은 음악회

작은 음악회

 

                         송은애의 '산다는 것은'에 다녀와서



오카리나 소리에

더욱 현란絢爛해지는 낙엽들의 춤

 

녹차 한 잔 마시며

음악 소리에 취하다 보면

나도 빨갛게 물들어 춤추는

늦가을 나비가 된다.

 

아름답게 산다는 것은

세상을 아름답게 보는 일이다.

 

지붕이 낮은 사람들의 마을엔

이미 겨울이 와 있지만

시를 태우고 노래를 태워

추위를 녹히려고 피워올리는 저 작은 기도

 

아이들의 박수 소리에

떨어지던 잎새들이 다시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었다.

 

 

2015. 11. 23

 

posted by 청라

삼척항에서

삼척항에서

 

 

달을 예인曳引하러 떠났던 배들이

만선滿船의 달빛을 바다에 부려놓았다.

파도의 근육들이

꿈틀거리며 일어선다.

나는 야성野性의 포말泡沫이 한눈에 보이는

선창가 횟집에서

바다의 살점을 씹어가면서

시든 젊음의 등잔에 불을 밝힌다.

! 바위의 심장에 뿌리박고

사랑으로 피어난

한 송이 해당화이고 싶어라.

금박의 꽃술마다 수로水路의 유혹으로 익어

불타는 열매를 맺고 싶어라.

오십천으로 떠내려 온 태백산

봉우리마다

한 등씩 반짝이는 별을 걸면서

모닥불처럼 뜨거운 정라항 열기에 취해

잠들지 못한다.

밤새도록 내 핏속에서

질주하는 대양의 바람소리가 들린다.

 

2015. 10. 29

<대전문학> 70호(2015년 가을호)

시문학598(20215월호)

 

posted by 청라

죽림竹林의 저녁

시조 2015. 10. 15. 15:21

죽림竹林의 저녁

 

 

있고 술 있으면

내 집이 죽림竹林이지

 

바람에 씻긴 달을

맛있게 시로 깎아

 

아끼는 술친구 불러

술안주로 내놓다.

 

 

2015. 10. 15

posted by 청라

사곡 장날

사곡 장날

            엄 기 창

 

 

이틀, 이레 아침이면

수탉보다 먼저 잠이 깼다.

 

어머니 손잡고 장에 가는 날엔

회재 넘어 시오리 산길도

걸음이 가뿐했다.

 

팔 것은 달걀 몇 줄에

콩 보리 서너 되

등유를 사고 나면 남는 것이 없었다.

 

빨고 빨아서 대만 남은

아이스케키 입에 물고

태평소 가락에 어깨 들썩이며

써꺼스 마당에 취해 있으면

 

어머니는 빈 주머니로

살 것도 없이

장터를 몇 바퀴 돌고 돌았다.

 

점심 짜장면 한 그릇은

이루지 못한 내 어릴 적 소원,

 

초등학교도 못 나와

한이 맺힌 어머니는

짜장면 대신 얘기책은 꼭 샀고

 

돌아가는 길 내내

알록달록한 호기심으로

숙향전 숙영낭자전의 주인공 되어

어머니에게 짜장면 배터지게 사주는 꿈을 꿨다.

 

2015. 10. 13

posted by 청라

공주에 가서

공주에 가서

                  엄 기 창

 

 

지금

어디쯤 헤매고 있는가?

 

낙엽 지는 게

외롭게 느껴지면

젊은 날의 공주로 한 번 가보세.

 

김치 쪼가리에

막걸리 한 잔을 마셔도

가슴이 더 따듯해지던 곳

 

술에 취해

욕설을 내뱉어도

입에선 역사의 향기가 나던 곳

 

젊은 날 버리고 간 아픔을 기억해주는

금강으로 가서

오늘의 슬픔도 코스모스 꽃처럼 띄워보내세.

 

공산성 등성이에도

가을이 익었으리.

 

단풍으로 다시 한 번

삶을 불태워 보세.

 

posted by 청라